안전신문고 불법주정차 신고 포상금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예전에도 이런 보상금 제도가 있었는데요.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집중 보고 기간이니 미리 확인해 보세요. '신고는 안전입니다.'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안전신문고는 우리 주위에 숨어있는 위험을 미리 신고하여 조금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이 많이 생활하는 지역이라면 적극 동참해 주세요.
1 안전신문고 제도란
혹시 무작위적인 현수막 설치로 신호등이 헷갈린 적 있으신가요? 안전신문고제도는 주위에서 보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신고 제도예요. 주요 신고에는 적절치 못한 곳에 주정차된 차량을 신고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제도가 있어요.
그럼 어떤 신고 항목들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신고 범위 항목
1 일상생활 위험 요소: 무너진 담벼락, 건물 붕괴 위험, 소화전 고장등
2 도로 및 시설물의 파손: 신호등, 도로, 보도, 산책로 부서짐
3 건설 및 철거 현장의 위험: 안전모, 안전화 미착용, 안전요원 부족 등
4 공기 오염: 불법 쓰레기 소각, 공장 및 시설 매연 배출, 철거장 석면 가루 배출등
5 수질 오염: 강 및 바다를 통한 하수 및 독성 물질 배출 등
6 교통 위반 신고
특히 마지막 항목인 교통 위반 신고가 가장 손쉬운 방법이에요. 주정차 금지구역에 주차된 차량 신고는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요.
2 안전신문고 불법주정차 교통위반 신고 방법
안전신문고 불법주정차 위반 신고 범위를 먼저 알아볼게요.
1 교통 위반(고속도로 포함):
과속, 위험 운전, 보복 운전, 불법 선회, 무단 침입, 불법 차선 변경, 불법 도로 갓길 및 버스 차선 등
2 이륜차 위반사항:
보도에서 이륜차를 타거나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등
3 버스 차선 위반(공공 도로):
공공 도로에서 승용차의 버스 차선 위반
4 번호판 위반:
번호판 신고위조, 변조, 번호판 부정사용 등
5 불법 계조 차량:
최고속도 제한장치 해제, 불법 조명, 반사경 파손, 투광등 파손, 트럭 후방 반사경 분실 또는 결함 등
6 안전신문고 불법주정차 구역에 있는 차량:
소화전 주변 5m 이내, 버스정류장 10m 이내, 어린이 보호 구역, 횡단보도 정지선 부근, 교차로 모퉁이 주변 5m 이내 등
위의 위반사항 및 불법주정차 신고는 위반일로부터 7일 안에 해야 해요. 7일이 지나면 위반 신고를 하더라도 경고 및 계도 처리로 진행돼요.
일상생활 불편사항 신고
그 외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만들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신고 할 수 있어요.
불법광고물:
불법으로 설치된 현수막 및 간판, 배너
자전거, 이륜차 불법 방치:
공공자전거 파손 및 자전거 주차시설 파손
불법 쓰레기, 폐기물: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이용하지 않거나 적절한 장소에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
불법 숙박:
영업신고를 하지 않은 숙박업소 및 민박 행위
기타 불편사항:
무허가 식품 및 청소년 유해업소 등
3 안전신문고 신고 방법 및 포상금
신고 방법
안전신문고는 국민신문고와 함께 진행되는데 앞에서 말한 신고 사항 범위에 포함되면 어느 것이든지 할 수 있어요. 신고에 따른 점수는 안전신문고에 마일리지로 축적되고 마이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신고 방법은 간단한데요. 안전신문고 어플을 설치하고 간편 가입을 하면 간단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
안전신문고(구 생활불편신고) - Google Play 앱
★생활속의 안전 위험요인 제거★ 안전신문고 앱으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신고하세요! 2020년 12월 생활불편신고가 안전신문고로 통합됩니다.
play.google.com
포상금
또한 예방효과가 큰 재난 신고는 심사를 통해 최대 포상금 100만 원과 마일리지 1000점을 지급할 예정이에요. 또한 집중참여기간 중 참여한 분들에게 모바일 쿠폰 5000원을 추첨으로 지급해요.
안전 예방 범위
산불 및 화재:
불법 소각, 담배꽁초, 비상구 물건 방치 등
축제 및 행사:
축제장의 많은 인원, 전기시설 노후화, 안전띠 미설치 등
어린이 안전:
안전시설 파손, 불량식품, 어린이 놀이 시설 파손등
신생아 특례 대출 대환 방법 및 특공 대상 알아보기
신생아 특례 대출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보금자리를 위해 정부의 새로운 저금리 정책 제도가 나왔어요. 자녀를 키우고 싶어도 안전한 주거지와 비싼 비용으로
1.gonnis.com
'일상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내일배움카드로 국가자격증을 취득해보세요. (0) | 2024.08.20 |
---|---|
국민취업지원제도 취업성공수당 취업이룸 방법 (0) | 2024.04.29 |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세율 및 비과세 요건 알아보기 (3) | 2023.11.28 |
한부모가정 지원금 혜택 및 자격조건 (0) | 2023.10.20 |
서울시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신청 알아보기 (0) | 2023.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