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와 같이 일시적으로 1 가구 2 주택이 된 경우의 양도소득세 세율 및 비과세 요건에 대해 알아보세요. 1가구 2주택은 양도세 중과세율이 적용되어 세금에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수시로 변경되는 만큼 가장 최근의 정보를 알아보세요.
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이사 등에 따라 일시적 1가구 2주택이 된 경우, 양도세의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예전에는 조정 지역에 따라 양도 기간이 2년 혹은 3년 이었으나 현재의 양도세 면제 조건은 모든 지역에서 3년 이내에 주택을 처분하면 비과세 대상에 해당해요.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 비과세 요건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요.
- 혼인으로 1가구 2주택이 된 경우, 혼인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매도
- 상속에 따른 2주택자, 3년 이내에서 2년 이상 보유한 주택을 매도
- 60세 이상의 부모님과 합가에 따른 2주택자, 10년 이내 주택 매도
- 자녀의 취학 및 회사 근무지 발령에 따른 2주택자, 기존 주택을 3년 이내 매도
위와 같은 특례 조건등을 확인하여 1가구 2주택에 따른 양도세 중과세율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어요.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세율
일시적 1가구 2주택 매매가 아닌 주택 매매의 양도소득세의 세율은 조정대상지역에 자신의 집이 포함이 되어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조정대상지역 안에 2채를 소유한 경우에는 1.2% ~ 6%의 세율을 적용되고, 비조정대상지역의 경우에는 0.6% ~ 3%의 세율이 적용이 돼요.
만약 일시적 1가구 2주택자가 아닌 다주택자의 경우 조정대상지역에서 주택을 매도하는 경우 중과세 대상이 될 수 있어요. 중과세대상의 경우에는 장기보유에 따른 특별공제 혜택을 가질 수 없으니 이점 꼭 기억해 주세요.
참고로 장기보유특별공제란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토지 및 건물, 주택을 매매하면서 양도소득세의 일부를 공제해 주는 제도를 말해요.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자신의 주택을 매매할 때 양도소득세를 계산해 보는 게 일반적이죠. 이럴 때 세무사 사무실을 이용해 위탁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신이 스스로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모의계산을 해볼 수도 있어요.
국세청 홈택스 메인 화면에 '세금 신고'를 누르고 '모의 계산'에서 진행할 수 있어요. 간편 계산으로 양도일자, 취득일자, 양도물건 종류를 기입하고 양도가액과 조정지역을 확인하면 간단하게 양도세액을 알아볼 수 있어요.
집값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죠.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요건과 1가구 2주택 양도세율을 알아보시고 자신의 소중한 재산을 잘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상속세율 계산 방법 및 면제 한도액
상속세는 상속받은 재산의 가치에 따라 일정 비율의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걸 말합니다. 상속세율은 상속받은 재산의 규모와 상속인의 관계에 따라서 납부해야 할 금액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1.gonnis.com
'일상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취업성공수당 취업이룸 방법 (0) | 2024.04.29 |
---|---|
안전신문고 불법주정차 신고 포상금 100만원 (1) | 2024.03.07 |
한부모가정 지원금 혜택 및 자격조건 (0) | 2023.10.20 |
서울시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신청 알아보기 (0) | 2023.10.19 |
주거안정 월세대출 자격 지원금 - 신청 방법, 서류 알아보기 (0) | 2023.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