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계산방법을 알고 계신가요? 그리고 통상임금이란 무엇일까요? 통상임금이란 근로자가 일시적으로 혹은 정기적으로 일한 근로금을 말해요. 그럼 통상임금은 왜 중요할까요? 혹시 매달 받는 월급의 명목과 세부사항을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자신이 일한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정확히 받고 있는지 아는 것은 중요하죠. 그래서 통상임금과 관련수당 범위를 정확하게 알고 계산을 해봐야 해요. 통상임금 계산방법을 알아보세요.
통상임금 계산방법 및 범위: 통상임금과 범위
1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근로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급여 및 수당의 총액을 말해요. 이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하며, 주로 시간당 급여나 일일, 주간, 월간 급여로 지급되는 금액을 포함하고 있어요.
2 통상임금의 범위는 다양합니다. 통상임금에는 직무수당(금융수당, 출납수당), 직책수당(반장수당, 소장수당) 등이 포함되고 물가변동이나 직급간의 임금격차 등을 조정하기 위한 물가수당, 조정수당 등이 포함될 수 있어요.
그리고 기술이나 자격증 및 면허증 소지자, 특수작업종사에게 지급되는 기술수당, 자격수장, 면허수당이 함께 포함되고 특수지역에서 근로하는 근로자를 위한 위험수당도 있어요.
그외 승무와 운행업무를 하는 종사자를 위한 승무수당, 생산 능률 목적의 생산 잔여수당과 같은 인센티브도 포함될 수 있어요.
3 통상임금은 각종 법정 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 법정 수당이란 자신이 기본적으로 하는 일 이외에 휴일, 연차, 월차 및 시간 외 일하게 되는 수당과 해고수당, 생리수당을 말해요.
4 통상임금에서 제외되는 비용도 있어요. 이런 비용에는 식비, 교통비, 가족수당, 명절 및 휴가철 연휴 휴가비 및 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아요.
통상임금 계산방법 및 범위
통상임금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이 돼요. 간단히 말하면 1주 근무시간 + 고정수당 + 연간 상여금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야간근로, 연장근로, 휴일근로 시간과 미사용 연차휴가 수등을 포함시킬 수 있어요.
하지만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통상임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계산기를 이용해 근무 시간, 급여액, 야간근로 및 연장근로 시간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이 돼요.
먼저 자신이 근무하는 시간과 급여액 등을 파란칸으로 되어 있는 곳에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입력한 내용이 나오게 되고 세부계산 결과가 함께 나오게 돼요.
예를 들어, 주 5일 8시간 근무에 월급이 200만 원이고, 고정수당이 80만 원, 연간 상여금이 400만 원이라 가정하고 입력을 하게 되면 시간당 통상임금은 14,992원이에요. 이를 1일 8시간으로 계산하면 1일 통상임금은 119,936원이 돼요.
통상임금 이외에 대략적인 퇴직금과 해고수당도 확인할 수 있으니 이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통상임금 계산은 개인의 급여와 수당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서 정확한 통상임금을 알면 월급 확인 및 급여가 제대로 지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이는 불필요한 오류나 과실을 방지할 수 있고 자신의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얻는 방법이에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식 및 가입조건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방법과 가입조건에 대해 쉽고 빠르게 알려드릴게요. 그리고 계산방법에 따른 주택연금 수령액은 얼마인지 예상금액을 조회하는 방법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주택연금 수령
1.gonnis.com
'일상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검사 예약 검사비용 과태료 (0) | 2023.10.11 |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방법 (0) | 2023.08.29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방법 혜택 (0) | 2023.08.24 |
노령연금 수급자격 금액 신청방법 (0) | 2023.08.21 |
차상위계층 기준 확인 방법 및 혜택 (0) | 2023.08.09 |
댓글